"홍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중국어로 红十(붉은 10). 북한 및 중국 연변지역에서 널리 행해지는 카드게임. 북한말로 "사사끼(44A)"라고도 한다. 클라이밍 카드게...)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첫 라운드의 시작은 밤에는 스페이드3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첫 선을 잡고, 낮에는 하트3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첫 선을 잡는다. 낮밤의 기준을 일몰/일출시로 한다. 선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턴이 돌아간다. 다음 사람이 카드를 낼 때에는 기본적으로 앞사람이 낸 카드/족보보다 높은 숫자의 것으로 같은 카드 장수로 내야 한다. | 첫 라운드의 시작은 밤에는 스페이드3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첫 선을 잡고, 낮에는 하트3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첫 선을 잡는다. 낮밤의 기준을 일몰/일출시로 한다. 선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턴이 돌아간다. 다음 사람이 카드를 낼 때에는 기본적으로 앞사람이 낸 카드/족보보다 높은 숫자의 것으로 같은 카드 장수로 내야 한다. | ||
앞선 사람이 낸 카드/족보보다 더 높은 것을 낼 수 없거나 내고싶지 않다면 "패스"를 외쳐서 해당 턴을 넘길 수 있으며, 연이어서 패스가 3번 나오게 되면 해당 카드/족보를 마지막으로 낸 사람이 해당 회전을 따게 된다. 이후 그 사람이 새로운 회전의 선이 되어 자신이 원하는 카드/족보를 처음부터 낼 수 있다. | 앞선 사람이 낸 카드/족보보다 더 높은 것을 낼 수 없거나 내고싶지 않다면 "패스"를 외쳐서 해당 턴을 넘길 수 있으며, 연이어서 패스가 3번 나오게 되면 해당 카드/족보를 마지막으로 낸 사람이 해당 회전을 따게 된다. 이후 그 사람이 새로운 회전의 선이 되어 자신이 원하는 카드/족보를 처음부터 낼 수 있다. | ||
− | + | 다음 라운드의 첫 시작은 이전 라운드에서 1등을 한 사람부터 시작한다. | |
==족보 설명== | ==족보 설명== | ||
70번째 줄: | 70번째 줄: | ||
− | ====차(또는 차기)==== | + | ====차(또는 차기, 먹기)==== |
어떤 사람이 싱글을 냈을 때, 자신이 해당 싱글의 숫자와 동일한 숫자의 페어를 들고 있다면 자신의 턴이 아니어도 순서를 끼어들어 '차'라고 외치며 해당 페어를 낼 수 있다. | 어떤 사람이 싱글을 냈을 때, 자신이 해당 싱글의 숫자와 동일한 숫자의 페어를 들고 있다면 자신의 턴이 아니어도 순서를 끼어들어 '차'라고 외치며 해당 페어를 낼 수 있다. | ||
예를들어 누군가가 싱글 5를 냈고, 자신의 손에 55가 있다면, '차'라고 외치며 자신의 순서가 아니어도 55를 낼 수 있다. | 예를들어 누군가가 싱글 5를 냈고, 자신의 손에 55가 있다면, '차'라고 외치며 자신의 순서가 아니어도 55를 낼 수 있다. | ||
79번째 줄: | 79번째 줄: | ||
− | ====꼬리(또는 꼬기)==== | + | ====꼬리(또는 꼬기, 싸기)==== |
어떤 사람이 차를 했을 때 자신에게 해당 차와 동일한 숫자의 싱글이 있다면 '꼬리'라고 외치며 순서를 끼어들어 해당 싱글을 낼 수 있다. | 어떤 사람이 차를 했을 때 자신에게 해당 차와 동일한 숫자의 싱글이 있다면 '꼬리'라고 외치며 순서를 끼어들어 해당 싱글을 낼 수 있다. | ||
예를 들어 누군가가 싱글 5를 냈고 그 위에 '차'가 55로 나왔을 때, 자신의 손에 싱글 5가 있다면 '꼬리'를 외치며 5를 낼 수 있다. | 예를 들어 누군가가 싱글 5를 냈고 그 위에 '차'가 55로 나왔을 때, 자신의 손에 싱글 5가 있다면 '꼬리'를 외치며 5를 낼 수 있다. | ||
88번째 줄: | 88번째 줄: | ||
==라운드 종료 후 승점계산== | ==라운드 종료 후 승점계산== | ||
− | 모든 사람들의 카드 패 털기가 종료된 후 팀원별 순위에 따라 승점을 얻는다. 한 팀에서 1등과 2등이 모두 나왔을 경우에는 개인당 2점씩 승점을 얻는다. 한 팀에서 1등과 3등이 나왔을 경우에는 개인당 1점씩 승점을 얻는다. 한 팀에서 1등과 4등이 나오거나 2등과 3등이 나올 경우에는 무승부로 처리되어 | + | 모든 사람들의 카드 패 털기가 종료된 후 팀원별 순위에 따라 승점을 얻는다. 한 팀에서 1등과 2등이 모두 나왔을 경우에는 개인당 2점씩 승점을 적팀으로부터 얻는다. 이 때 패한 팀은 각각 승자 1인당 1점씩 점수를 주면 된다. 한 팀에서 1등과 3등이 나왔을 경우에는 개인당 1점씩 승점을 얻는다. 이 때 패한 팀은 승자팀 중 1명을 서로 나누어 골라서 1점씩 점수를 주면 된다. 한 팀에서 1등과 4등이 나오거나 2등과 3등이 나올 경우에는 무승부로 처리되어 승점이 없다. |
− | 다만, 1명이 혼자서 팀을 하여 플레이를 했을 경우(돼지)에는 조금 다르다. 돼지가 1등을 했을 경우에는 | + | 다만, 1명이 혼자서 팀을 하여 플레이를 했을 경우(돼지)에는 조금 다르다. 돼지가 1등을 했을 경우에는 나머지 사람들이 2점씩 모아서 돼지에게 총6점을 줘야한다. 돼지가 2등을 했을 경우에는 무승부로 처리되어 모든 사람이 0점을 획득한다. 돼지가 3등 했을 때에는 돼지는 패배하고 돼지가 나머지 사람들에게 각 1점씩 줘야 한다. 돼지가 4등을 헀을 때에는 돼지는 패배하고 돼지가 나머지 사람들에게 각 2점씩 줘야 한다. |
97번째 줄: | 97번째 줄: | ||
===달리기=== | ===달리기=== | ||
− | 게임 시작 전에 하트10 또는 다이아10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외칠 수 있다. 자신의 패가 좋은 것으로 여겨져 1등으로 나갈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달리기를 외칠 수 있다. | + | 게임 시작 전에 하트10 또는 다이아10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외칠 수 있다. 자신의 패가 좋은 것으로 여겨져 1등으로 나갈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달리기를 외칠 수 있다. |
달리기를 외친 사람은 자신의 빨간색 10 카드 한장을 공개하고, 나머지 빨간색 10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서로 빨간 10카드를 맞교환 한다. 돼지가 달리기를 외친 경우에는 패 맞교환 없이 게임이 진행된다. | 달리기를 외친 사람은 자신의 빨간색 10 카드 한장을 공개하고, 나머지 빨간색 10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서로 빨간 10카드를 맞교환 한다. 돼지가 달리기를 외친 경우에는 패 맞교환 없이 게임이 진행된다. | ||
+ | 달리기를 외쳤을 때에는 티츄처럼 반드시 달리기를 외친사람만 1등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기가 성사된 판에서 승리한 팀은(달리기를 외친 팀이든, 외치지 않은 팀이든) 승점을 2배로 가져오게 된다. | ||
− | ===뚝=== | + | ===뚝(또는 퉁)=== |
− | 달리기를 외친 | + | 적팀이 달리기를 외쳤을 때 자신의 팀에서 방어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면 달리기에 대항하여 뚝을 외칠 수 있다. 뚝을 외친 판은 승점이 4배가 된다. |
2020년 2월 29일 (토) 16:07 판
개요
중국어로 红十(붉은 10). 북한 및 중국 연변지역에서 널리 행해지는 카드게임. 북한말로 "사사끼(44A)"라고도 한다. 클라이밍 카드게임의 일종. 2~6인용 게임이라고 하지만 사실 4인용이 정식이다. 본 위키에서는 4인용 게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게임은 해당 지역 주민들의 구전에 의해 전승되어오고 있는 게임이므로 지역마다 용어 및 세부적인 규칙이 조금씩 다르다. 본 위키에서 서술하는 룰은 북한지역 사람들에 의해 전수받은 룰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나, 용어는 대보라에서 사용하던 것(연변지역 용어)을 사용하였다.
규칙
카드 준비
일반 트럼프카드로 준비를 하되, 조커카드와 숫자2는 사용하지 않는다. 총 48장을 가지고 4명이 균등하게 12장씩 나누어 가진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한다. 카드 숫자의 위계는 3이 가장 낮은 숫자이며 A가 가장 높다.
게임의 승리조건
이 게임은 팀게임이며, 가장 먼저 모든 카드를 털고 나간사람이 1등이 된다. 적팀보다 빠르게 자신의 카드를 모두 털고 나가야지 승리할 수 있다. 이후 카드를 모두 털고나간 순서대로 승점을 매긴다. 게임의 종료기준 승점은 해당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서로 협의하여 정해서 할 수 있다.
팀의 구성
하트10과 다이아10을 가지고있는 사람끼리 같은 팀이며 그 외의 사람들이 같은 팀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트10과 다이아10을 한 사람이 모두 가지고 있을 수가 있는데(돼지), 이 경우에는 그 사람 혼자 팀을 하게 되며, 나머지 3명이 그를 견제하게 된다. 게임이 처음 시작할 때에는 서로의 패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누가 자신과 같은 팀원인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시작하게 되며,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게임 운영양상을 토대로 자신과 같은 팀원이 누구인지 유추해야 한다. 자신이 손에 들고 있는 패에 따라서 자신의 팀원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 판마다 팀원이 바뀐다.
라운드 진행
첫 라운드의 시작은 밤에는 스페이드3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첫 선을 잡고, 낮에는 하트3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첫 선을 잡는다. 낮밤의 기준을 일몰/일출시로 한다. 선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턴이 돌아간다. 다음 사람이 카드를 낼 때에는 기본적으로 앞사람이 낸 카드/족보보다 높은 숫자의 것으로 같은 카드 장수로 내야 한다. 앞선 사람이 낸 카드/족보보다 더 높은 것을 낼 수 없거나 내고싶지 않다면 "패스"를 외쳐서 해당 턴을 넘길 수 있으며, 연이어서 패스가 3번 나오게 되면 해당 카드/족보를 마지막으로 낸 사람이 해당 회전을 따게 된다. 이후 그 사람이 새로운 회전의 선이 되어 자신이 원하는 카드/족보를 처음부터 낼 수 있다. 다음 라운드의 첫 시작은 이전 라운드에서 1등을 한 사람부터 시작한다.
족보 설명
싱글
낱장의 카드를 한장씩 내는 것이다. 더 높은 싱글과 모든 종류의 폭탄 및 '차'로 밟힌다.
페어
같은 숫자 2장의 묶음으로 내는 것이다.(예:33) 더 높은 페어와 모든 종류의 폭탄으로 밟힌다.
스트레이트
연이은 싱글3장 이상 묶여 있는 것이다. (예: 345 또는 3456) 같은 카드장수의 더 높은 스트레이트와 모든 종류의 폭탄 또는 '차'로 밟힌다.
계단
연이은 숫자페어 3개 이상 묶여 있는 것이다. (예: 334455) 같은 카드장수의 더 높은 계단과 3장짜리 폭탄을 제외한 모든 폭탄으로 밟힌다.
폭탄
폭탄은 자신의 턴이 왔을 때 앞선 사람의 카드/족보의 장수에 맞출 필요없이 마음대로 낼 수 있다.
3장짜리 폭탄
같은 숫자 3장(트리플)을 한번에 내면 3장짜리 폭탄이 된다. 자신의 턴이 왔을 때에만 낼 수 있다. 트리플은 더 높은 3장짜리 폭탄 및 후술하는 폭탄들로 밟힌다. AAA보다 높은 3장짜리 폭탄으로는 트리플은 아니지만 44A(사사끼)가 있으며, 이 44A가 3장짜리 폭탄 가운데서 가장 높다.
포카드 폭탄
같은 숫자 4장(포카드)을 한번에 내면 4장짜리 폭탄이 된다. 자신의 턴이 왔을 때에만 낼 수 있다. 포카드는 더 높은 4장짜리 폭탄 및 후술하는 폭탄들로 밟힌다.
스트레이트플러시 폭탄
같은 문양의 스트레이트 5장 이상(스트레이트플러시)을 한번에 내리면 5장 이상의 폭탄이 된다. 자신의 턴이 왔을 때에만 낼 수 있다. 스트레이트플러시는 더 높은 같은 카드장수의 스트레이트플러시 또는 더 많은 카드장수의 스트레이트플러시 또는 후술하는 폭탄으로 밟힌다.
돼지폭탄
빨간색 10을 2장 들고 있으면(하트10과 다이아10) 가장 강력한 폭탄인 돼지폭탄이 된다. 모든 족보를 이긴다. 돼지폭탄은 흑돼지로 밟힌다.
흑돼지
검은색 10을 2장 들고 있으면(클로버10과 스페이드10) 흑돼지가 된다. 오로지 돼지폭탄을 잡을 때에만 흑돼지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 이외의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10페어로 사용된다.
차와 꼬리
일반적인 족보 및 폭탄과는 달리 자신의 턴이 아니어도 쓸 수 있으며 폭탄으로 밟히지 않는다. 자신이 낸 카드에도 차 또는 꼬리가 모두 가능하다.
차(또는 차기, 먹기)
어떤 사람이 싱글을 냈을 때, 자신이 해당 싱글의 숫자와 동일한 숫자의 페어를 들고 있다면 자신의 턴이 아니어도 순서를 끼어들어 '차'라고 외치며 해당 페어를 낼 수 있다. 예를들어 누군가가 싱글 5를 냈고, 자신의 손에 55가 있다면, '차'라고 외치며 자신의 순서가 아니어도 55를 낼 수 있다.
다만, 차는 꼬리로 밟힌다. 꼬리가 나오지 않을경우 해당 턴은 차를 사용한 사람이 가져간다.
싱글 뿐만 아니라 스트레이트에 대해서도 차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345 스트레이트를 냈을 때, 자신의 손에 334455(연속페어)가 있다면 '차'를 외치고 334455를 낼 수 있다.
꼬리(또는 꼬기, 싸기)
어떤 사람이 차를 했을 때 자신에게 해당 차와 동일한 숫자의 싱글이 있다면 '꼬리'라고 외치며 순서를 끼어들어 해당 싱글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싱글 5를 냈고 그 위에 '차'가 55로 나왔을 때, 자신의 손에 싱글 5가 있다면 '꼬리'를 외치며 5를 낼 수 있다. 꼬리는 어떤 경우에도 밟히지 않는다. 해당 턴은 꼬리를 사용한 사람이 가져간다. 예: 5(싱글) -> 55(차) -> 5(꼬리)
앞서서 스트레이트를 덮는 차가 나왔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꼬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차'로 334455(연속페어)를 냈을 때, 자신의 손에 345(스트레이트)가 있다면 '꼬리'를 외치고 345를 낼 수 있다. 예: 345(스트레이트) -> 334455(차) -> 345(꼬리)
라운드 종료 후 승점계산
모든 사람들의 카드 패 털기가 종료된 후 팀원별 순위에 따라 승점을 얻는다. 한 팀에서 1등과 2등이 모두 나왔을 경우에는 개인당 2점씩 승점을 적팀으로부터 얻는다. 이 때 패한 팀은 각각 승자 1인당 1점씩 점수를 주면 된다. 한 팀에서 1등과 3등이 나왔을 경우에는 개인당 1점씩 승점을 얻는다. 이 때 패한 팀은 승자팀 중 1명을 서로 나누어 골라서 1점씩 점수를 주면 된다. 한 팀에서 1등과 4등이 나오거나 2등과 3등이 나올 경우에는 무승부로 처리되어 승점이 없다.
다만, 1명이 혼자서 팀을 하여 플레이를 했을 경우(돼지)에는 조금 다르다. 돼지가 1등을 했을 경우에는 나머지 사람들이 2점씩 모아서 돼지에게 총6점을 줘야한다. 돼지가 2등을 했을 경우에는 무승부로 처리되어 모든 사람이 0점을 획득한다. 돼지가 3등 했을 때에는 돼지는 패배하고 돼지가 나머지 사람들에게 각 1점씩 줘야 한다. 돼지가 4등을 헀을 때에는 돼지는 패배하고 돼지가 나머지 사람들에게 각 2점씩 줘야 한다.
심화규칙:달리기와 뚝
티츄의 스몰티츄 선언과 비슷한 요소로 달리기와 뚝이 있다.
달리기
게임 시작 전에 하트10 또는 다이아10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외칠 수 있다. 자신의 패가 좋은 것으로 여겨져 1등으로 나갈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달리기를 외칠 수 있다. 달리기를 외친 사람은 자신의 빨간색 10 카드 한장을 공개하고, 나머지 빨간색 10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서로 빨간 10카드를 맞교환 한다. 돼지가 달리기를 외친 경우에는 패 맞교환 없이 게임이 진행된다. 달리기를 외쳤을 때에는 티츄처럼 반드시 달리기를 외친사람만 1등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기가 성사된 판에서 승리한 팀은(달리기를 외친 팀이든, 외치지 않은 팀이든) 승점을 2배로 가져오게 된다.
뚝(또는 퉁)
적팀이 달리기를 외쳤을 때 자신의 팀에서 방어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면 달리기에 대항하여 뚝을 외칠 수 있다. 뚝을 외친 판은 승점이 4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