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블

대보라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2009년 발매된, 그림 짝짓기 게임. 국내에서는 행복한바오밥에서 정식 한글화하여 발매했다. 사실 한글화가 필요없다 3분도 걸리지 않는 룰 설명 후, 같은 그림 찾기 만으로 바로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취학 어린이들과도 즐길 수 있는 게임이다. 진정한 의미의 가족게임이자 파티게임.

도블1

규칙

원형으로 된 각각의 카드에는 8개의 마크가 그려져있고, 어떤 카드와 매치해도 마크가 1개씩 겹치게 되어있다. 이를 바탕으로, 비교대상이 된 두 장의 카드에서 같은 마크를 찾아 먼저 외치는 사람에게 카드의 운용권이 주어진다. 이것이 기본적인 규칙의 시작이자 끝으로, 이를 응용한 5가지의 게임 방식이 있다.

도블2
  • "얼른 가져!"
1) 가운데에 더미를 쌓아두고, 각자 한 장씩 나누어 갖는다. 가운데 더미는 모두 뒷면인 상태로 둔다.
2) '시작'과 동시에 가운데 더미를 뒤집어 앞면이 보이게 놓는다.
3) 각자 가진 카드와 가운데 더미의 카드를 비교해, 같은 마크를 발견하면 해당 마크의 명사이름을 외친다.
4) 가장 먼저 발견하고 외친 사람이 카드를 가져간다. 이때 가져간 카드는 자신의 카드더미 맨 위에 놓는다.
5) 더미의 다음 장이 나오자마다 그대로 위의 방식으로 쭉 진행한다. 더미가 소진되면 종료된다.
6) 종료시 카드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승리한다.
  • "얼른 버려!"
1) 각자 같은 장수의 카드를 나누어갖고, 1장의 카드만 가운데에 뒷면인 상태로 둔다.
2) '시작'과 동시에 가운데 카드를 뒤집어 앞면이 보이게 놓는다.
3) 각자 가진 카드와 가운데 더미의 카드를 비교해, 같은 마크를 발견하면 해당 마크의 명사이름을 외친다.
4) 가장 먼저 발견하고 외친 사람이 카드를 가운데 더미에 버린다. 버려지는 카드는 더미의 맨 위에 놓인다.
5) 자신의 카드 더미를 가장 먼저 모두 털어내는 사람승리한다.
  • "친구야 미안!"
1) 가운데에 더미를 쌓아두고, 각자 한 장씩 나누어 갖는다. 가운데 더미는 모두 뒷면인 상태로 둔다.
2) '시작'과 동시에 가운데 더미를 뒤집어 앞면이 보이게 놓는다.
3) 각자 가진 카드와 가운데 더미의 카드를 비교해, 같은 마크를 발견하면 해당 마크의 명사이름을 외친다.
4) 가장 먼저 발견하고 외친 사람이 카드를 가져가되, 자신이 갖지 않고, 주고 싶은 다른 사람에게 준다. 역시 그 사람의 더미 맨 위에 놓는다.
5) 가운데 더미가 모두 소진되면 게임이 종료된다.
6) 종료시 카드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패배한다.
  • "다 내꺼야!"
1) 위와는 다르게 여러 라운드로 진행된다. 참여 플레이어수 + 1장의 카드를 라운드마다 사용한다.
2) 가운데 한 장, 각자 앞에 한 장씩을 나누어 놓는다. 역시 가운데 카드는 뒷면이 보이게 놓는다.
3) '시작'과 동시에 가운데 카드를 뒤집어 앞면이 보이게 놓는다.
4) 이제부터는 스피드 게임으로, 각 플레이어는 자신 앞의 카드를 포함하여, 가운데 카드와 매치되는 마크를 발견하는 즉시 외친다.
5) 가장 먼저 발견하고 외친 사람이 카드를 가져가되, 모두 가진다.
6) 라운드가 끝나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진행한다.
7) 종료시 카드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승리한다.
  • "앗 뜨거워!"
1) 각자 플레이어 손 위에, 카드를 한 장씩 뒷면으로 놓는다.
2) '시작'과 동시에 각자의 카드를 뒤집어 앞면으로 놓는다.
3)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카드와 매치되는 다른 사람의 카드 마크를 찾아 외친다.
4) 가장 먼저 발견하고 외친 사람이, 해당 플레이어의 손에 카드를 올려놓는다. 이때 카드는 한장씩이 아니라 통째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3명이 게임을 할 때, A가 B에게 카드를 넘겨서 B가 카드를 2장 가진 상태에서, B가 C의 마크를 찾아 외친 경우, 2장이 한꺼번에 이동한다.
5) 한 사람이 카드 모두를 갖게 되는 순간 라운드가 종료되고, 다음 라운드 세팅, 진행을 이어간다.
6) 종료시 카드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패배한다.
  • 개인적으로 "다 내꺼야!" 와 "앗 뜨거워!" 는 룰이 약간 불명확한 부분도 있고, 라운드 방식으로 진행하기 귀찮은 면이 있어서 잘 하지 않고 그 위의 3가지를 주로 하는 편이다.

추천/비추천

  • 추천
중간게임으로는 최적이 아닌가 싶다. 시간때우기 최고!
복잡한 룰을 이해하기 어려운 사람도 즐길 수 있는 간단한 룰. 가족게임으로도 좋다.
파티파티한 분위기가 필요할 때 적격.
  • 비추천
게이머 모임에서는 중간게임 이상은 되기 어렵다.